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 기타소득과 사업소득이 뭐가 다른 거지? 복잡하고 헷갈리는 세금 때문에 머리 아프신가요?

    특히 프리랜서나 부업으로 추가 수입이 있는 분들이라면 더욱 꼼꼼하게 챙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시 가장 많이 헷갈려 하시는 기타소득과 사업소득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종합소득세, 기타소득과 사업소득 구분

     

     

    종합소득세개인의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이자, 배당, 근로, 연금, 사업소득, 그리고 기타소득까지 다양한 소득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에 포함되죠

    소득의 종류에 따라 세금을 계산하는 법, 필요경비 인정 범위, 그리고 세금 신고 절차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소득 구분이 절세의 첫걸음입니다.

    특히 가장 헷갈리는 기타소득과 사업소득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종합소득세 신고를 똑똑하게 준비해 보세요!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핵심 차이점 완벽 비교

     

     

    기타소득과 사업소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속성'과 '반복성'에 있습니다.

     

     

    • 기타소득 : 일시적, 비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소득
    • 사업소득 : 계속적, 반복적인 사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소득

     

     

    구분 기타소득 사업소득
    정의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퇴직, 양도소득 외의
    일시적.우발적 소득
    개인이 계속적으로 행하는 사업에서
    얻어지는 소득
    예시 강연료(일시적), 원고료(비정기적), 복권 당첨금, 상금 프리랜서 소득, 개인 사업 운영으로 인한 소득
    원천징수 세율 총 수입의 8.8% (단, 필요경비 60% 인정) 총 수입의 3.3%
    신고방법 - 기타소득금액 300만 원 이하 : 분리과세 선택 가능
    (종합소득세 신고x)

    - 기타 소득금액 300만 원 초과 :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필요경비 인정 유형에 따라 필요경비 인정 비율 상이 (60%, 80% 등) 장부 기록 및 증빙 자료에 따라 실제 발생한
    필요경비 인정

     

     

     

    종합소득세 절세 전략 : 기타소득과 사업소득 신고

     

     

    종합소득세를 절세하려면 자신의 소득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신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기타소득,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기타소득 금액이 300만 원 이하인 경우,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 분리과세 : 종합소득세 신고 없이, 원천 징수로 납세 의무 종결
    • 종합과세 :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일반적으로 기타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분리과세가 유리합니다.

    하지만 다른 소득이 있거나, 소득공제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다면 종합과세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사업소득, 장부 작성 vs 추계신고?

     

     

    사업소득은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신고 방법은 크게 장부 작성과 추계신고로 나뉩니다.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 장부 작성 : 복식부기 또는 간편 장부를 작성하여 실제 소득을 계산
    • 추계신고 : 장부 없이 정부에서 정한 경비율(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을 적용하여 소득을 계산

     

    수입 금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소규모 사업자는 단순경비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경비율은 간편하게 소득을 계산할 수 있지만, 실제 발생한 비용보다 경비 인정액이 적을 수 있습니다.

    수입이 많거나, 비용 지출이 많은 사업자라면 장부를 작성하여 실제 필요경비를 인정받는 것이 절세에 유리합니다.

     

     

     

    반응형